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연봉 실수령액 표 및 계산 방법

연봉협상 후 첫 월 급여를 받으면 생각보다 적은 금액에 실망하곤 하는데요. 내가 실제로 받는 금액이 연봉을 12개월로 나눈 금액보다 적기 때문입니다. 월 급여가 생각보다 적은 이유가 무엇이고 연봉이 2천만원인 사람부터 10억원이 넘는 사람까지 매월 받는 실수령액이 얼마인지 알아 봤습니다.

연봉에서 공제되는 금액

월 급여에서 내 통장으로 들어오는 실수령액은 국민연금, 건강보험, 요양보험, 고용보험, 근로소득세, 지방소득세가 공제된 금액입니다. 월 급여에서 공제되는 항목과 금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공제합계 = 국민연금 + 건강보험 + 요양보험 + 고용보험 + 근로소득세 + 지방소득세

  • 국민연금 = 월 급여 x 4.5%
  • 건강보험 = 월 급여 x 3.495%
  • 요양보험 = 건강보험 x 12.27%
  • 고용보험 = 월 급여 x 0.9%
  • 근로소득세 = 소득구간별로 상이
  • 지방소득세 = 근로소득세 x 10%

연봉 구간별 실수령액

1. 2,000 ~ 2,900만원

연봉 월 급여 공제합계 실수령액
20,000,000 1,666,667 168,830 1,497,837
21,000,000 1,750,000 178,640 1,571,360
22,000,000 1,833,333 188,230 1,645,103
23,000,000 1,916,667 197,810 1,718,857
24,000,000 2,000,000 207,940 1,792,060
25,000,000 2,083,333 218,530 1,864,803
26,000,000 2,166,667 229,130 1,937,537
27,000,000 2,250,000 240,080 2,009,920
28,000,000 2,333,333 250,690 2,082,643
29,000,000 2,416,667 263,130 2,153,537

2. 3,000 ~ 3,900만원

연봉 월 급여 공제합계 실수령액
30,000,000 2,500,000 278,880 2,221,120
31,000,000 2,583,333 294,170 2,289,163
32,000,000 2,666,667 309,480 2,357,187
33,000,000 2,750,000 325,730 2,424,270
34,000,000 2,833,333 341,010 2,492,323
35,000,000 2,916,667 356,320 2,560,347
36,000,000 3,000,000 373,040 2,626,960
37,000,000 3,083,333 388,330 2,695,003
38,000,000 3,166,667 405,950 2,760,717
39,000,000 3,250,000 424,480 2,825,520

3. 4,000 ~ 4,900만원

연봉 월 급여 공제합계 실수령액
40,000,000 3,333,333 443,020 2,890,313
41,000,000 3,416,667 461,540 2,955,127
42,000,000 3,500,000 482,760 3,017,240
43,000,000 3,583,333 501,290 3,082,043
44,000,000 3,666,667 519,820 3,146,847
45,000,000 3,750,000 538,350 3,211,650
46,000,000 3,833,333 563,020 3,270,313
47,000,000 3,916,667 582,540 3,334,127
48,000,000 4,000,000 605,000 3,395,000
49,000,000 4,083,333 624,520 3,458,813

4. 5,000 ~ 5,900만원

연봉 월 급여 공제합계 실수령액
50,000,000 4,166,667 644,030 3,522,637
51,000,000 4,250,000 663,550 3,586,450
52,000,000 4,333,333 683,070 3,650,263
53,000,000 4,416,667 702,580 3,714,087
54,000,000 4,500,000 725,180 3,774,820
55,000,000 4,583,333 748,040 3,835,293
56,000,000 4,666,667 768,160 3,898,507
57,000,000 4,750,000 788,270 3,961,730
58,000,000 4,833,333 808,380 4,024,953
59,000,000 4,916,667 828,490 4,088,177

5. 6,000 ~ 6,900만원

연봉 월 급여 공제합계 실수령액
60,000,000 5,000,000 851,700 4,148,300
61,000,000 5,083,333 871,800 4,211,533
62,000,000 5,166,667 891,920 4,274,747
63,000,000 5,250,000 911,580 4,338,420
64,000,000 5,333,333 927,950 4,405,383
65,000,000 5,416,667 944,300 4,472,367
66,000,000 5,500,000 963,740 4,536,260
67,000,000 5,583,333 980,110 4,603,223
68,000,000 5,666,667 1,003,430 4,663,237
69,000,000 5,750,000 1,027,190 4,722,810

6. 7,000 ~ 7,900만원

연봉 월 급여 공제합계 실수령액
70,000,000 5,833,333 1,050,960 4,782,373
71,000,000 5,916,667 1,102,240 4,814,427
72,000,000 6,000,000 1,131,220 4,868,780
73,000,000 6,083,333 1,155,190 4,928,143
74,000,000 6,166,667 1,179,160 4,987,507
75,000,000 6,250,000 1,203,150 5,046,850
76,000,000 6,333,333 1,227,120 5,106,213
77,000,000 6,416,667 1,251,100 5,165,567
78,000,000 6,500,000 1,280,070 5,219,930
79,000,000 6,583,333 1,304,050 5,279,283

7. 8,000 ~ 8,900만원

연봉 월 급여 공제합계 실수령액
80,000,000 6,666,667 1,328,020 5,338,647
81,000,000 6,750,000 1,352,010 5,397,990
82,000,000 6,833,333 1,375,980 5,457,353
83,000,000 6,916,667 1,399,960 5,516,707
84,000,000 7,000,000 1,428,930 5,571,070
85,000,000 7,083,333 1,452,910 5,630,423
86,000,000 7,166,667 1,476,880 5,689,787
87,000,000 7,250,000 1,500,860 5,749,140
88,000,000 7,333,333 1,524,840 5,808,493
89,000,000 7,416,667 1,548,820 5,867,847

8. 9,000 ~ 9,900만원

연봉 월 급여 공제합계 실수령액
90,000,000 7,500,000 1,577,790 5,922,210
91,000,000 7,583,333 1,601,760 5,981,573
92,000,000 7,666,667 1,625,740 6,040,927
93,000,000 7,750,000 1,649,730 6,100,270
94,000,000 7,833,333 1,673,700 6,159,633
95,000,000 7,916,667 1,697,670 6,218,997
96,000,000 8,000,000 1,726,650 6,273,350
97,000,000 8,083,333 1,750,630 6,332,703
98,000,000 8,166,667 1,774,600 6,392,067
99,000,000 8,250,000 1,798,580 6,451,420

9. 1억원 이상

월 급여가 1,000만원을 초과하면 근로소득세에 누진세율이 적용됩니다. 누진세율이 적용되는 월 급여 구간과 근로소득세는 아래와 같습니다.

  • 1,400만원 이하 = (10,000천원인 경우의 해당 세액) + (10,000천원을 초과하는 금액에 98퍼센트를 곱한 금액의 35퍼센트 상당액)
  • 2,800만원 이하 = (10,000천원인 경우의 해당세액) + (1,372,000원) + (14,000천원을 초과하는 금액에 98퍼센트를 곱한 금액의 38퍼센트 상당액)
  • 3,000만원 이하 = (10,000천원인 경우의 해당세액) + (6,585,600원) + (28,000천원을 초과하는 금액에 98퍼센트를 곱한 금액의 40퍼센트 상당액)
  • 4,500만원 이하 = (10,000천원인 경우의 해당세액) + (7,369,600원) + (30,000천원을 초과하는 금액의 40퍼센트 상당액)
  • 8,700만원 이하 = (10,000천원인 경우의 해당세액) + (13,369,600원) + (45,000천원을 초과하는 금액의 42퍼센트 상당액)
  • 8,700만원 초과 = (10,000천원인 경우의 해당세액) + (31,009,600원) + (87,000천원을 초과하는 금액의 45퍼센트 상당액)
연봉(천원) 월 급여 공제합계 실수령액
100,000 8,333,333 1,822,560 6,510,773
120,000 10,000,000 2,425,820 7,574,180
121,000 10,083,333 2,461,270 7,622,063
168,000 14,000,000 4,127,970 9,872,030
169,000 14,083,333 4,166,120 9,917,213
336,000 28,000,000 10,538,270 17,461,730
337,000 28,083,333 10,578,210 17,505,123
360,000 30,000,000 11,497,150 18,502,850
361,000 30,083,333 11,537,820 18,545,513
540,000 45,000,000 18,820,720 26,179,280
541,000 45,083,333 18,863,240 26,220,093
1,044,000 87,000,000 40,250,730 46,749,270
1,045,000 87,083,333 40,293,250 46,790,083
1,046,000 87,166,667 40,335,771 46,830,896
 

건강보험료 미납 불이익 총정리

국민건강보험은 전 국민이 의무 가입해야 하는 보험입니다. 건강보험료를 내지 않으면 의료비 지원을 받을 수 없고 계좌 압류, 체납 추심 등의 처분도 받게 됩니다. 건강보험료 미납 시 발생하

kimsring.tistory.com

 

4대 보험 가입내역 확인서 발급 방법

재직 여부 및 경력 증빙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서류 중 하나가 4대 보험 가입내역 확인서입니다. 기존에는 건강보험, 국민연금, 고용보험, 산재보험을 각각 따로 신청해야 했는데요. 요즘은 4

kimsring.tistory.com

 

IT 프리랜서 고용보험 가입 방법 및 혜택

지난 7월 산재보험 및 고용보험 의무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면서 IT 프리랜서도 구직급여 수급, 출산전후급여 수급 등 고용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습니다. 고용보험 혜택과 가입 방법을 알려

kimsring.tistory.com

 

계약 연봉 vs 실수령액 차이 및 계산 방법

월급을 받았을 때 계약 연봉과 실수령액의 차이가 커서 당황했던 경험이 있으실 겁니다. 연봉이 24백만 원이라면 1인 가구 기준으로 월 실수령액이 2백만 원이 아닌 1.8백만 원입니다. 왜 이런 차

kimsring.tistory.com

 

시급제 근로자 주휴수당 계산 방법

월급제 근로자의 경우 주휴수당을 포함한 월급을 회사가 알아서 지급해 주는데요. 알바, 파트타임 등 시급제 근로자의 경우에는 사업주가 실수로 주휴수당을 지급하지 않는 경우가 있어 근로자

kimsring.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