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보험에 가입할 때 보험사로부터 과거 운전경력(최대 3년)을 인정받으면 보험료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운전경력 3년이 보험가입 경력으로 인정되면 보험료를 30% 이상 절감할 수 있습니다. 보험가입 경력으로 인정되는 운전경력 범위를 알려 드립니다.
보험가입 경력 인정 제도
운전 경력이 있으면 자동차 보험에 가입한 적이 없어도 최대 3년까지 보험가입 경력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운전 경력 인정은 1년 단위로 이뤄지며 2개 이상일 경우 합산이 됩니다. 예를 들어, 1년 6개월과 8개월 경력이 있으면 2년의 보험가입 경력으로 인정받아 보험료를 30% 이상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보험가입 경력 인정 기준
1. 운전병 복무
군대에서 운전병으로 복무한 기간을 보험가입 경력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경력을 증명하기 위해 병무청에서 발급한 병적증명서가 필요합니다.
2. 관공서, 법인 운전직 근무
공공기관이나 법인에서 자동차를 운전한 기간을 보험가입 경력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경력을 증명하기 위해 재직증명서와 운전직 경력증명, 원천징수 영수증이 필요합니다.
3. 해외 자동차 보험 가입
유학이나 출장으로 해외에서 운전한 경력을 보험가입 경력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경력을 증명하기 위해 출입국사실증명서, 해외보험 가입증명서, 여권 사본이 필요합니다.
4. 택시, 버스, 화물차 공제조합 가입
택시, 버스, 화물 트럭 등을 운행하는 경우 공제조합 가입기간을 보험가입 경력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경력을 증명하기 위해 공제조합 가입증명서와 운전면허증이 필요합니다.
5. 가족 등의 자동차 보험에 종피보험자로 등록
가족의 자동차 보험에 종피보험자로 등록하고 운전한 기간을 보험가입 경력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경력을 증명하기 위해 보험가입증명서가 필요합니다.
보험가입 경력 인정 신청 방법
1. 자동차 보험 가입 전 신청
보험가입 경력 인정 신청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자동차 보험에 가입할 때 운전 경력을 인정받고 싶은 가족을 종피보험자로 등록하면 됩니다. 종피보험자로 등록된 사람은 앞으로 별도의 자동차 보험에 가입할 때 추가 신청 없이 자동으로 운전 경력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본인 외에 최대 2명까지 운전 경력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2. 자동차 보험 가입 후 신청
이미 자동차 보험에 가입했더라도 경력 인정을 신청을 할 수있습니다. 보험사 콜센터나 담당 설계사를 통해 신청하면 경력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를 제출해 신청할 수 있고, 보험사의 홈페이지나 모바일앱을 통해 신청하면 보험 계약자와 추가 운전자가 본인 인증만 거치면 신청이 됩니다. 참고로 보험가입 경력 시작일은 신청일입니다.
초과 납부된 보험료 환급 방법
자동차 보험에 가입할 때 보험가입 경력을 인정받지 못해 보험료 할인을 적용받지 못했다면 운전 경력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를 제출해서 소급 적용을 받을 수 있습니다. 보험개발원이 운영하는 AIPIS 통합 조회 서비스를 통해 과납 보험료 환급 신청과 휴면 보험금을 조회를 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 보험료 견적 비교
동일한 보험가입 경력을 인정받더라도 보험사에 따라 할인율과 보험료가 다릅니다. 그래서 자동차 보험은 가입하기 전에 각 보험사의 다이렉트 홈페이지에서 견적을 받아 비교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 현대해상 다이렉트 자동차 보험료 견적
- DB손해보험 다이렉트 자동차 보험료 견적
- 삼성화재 다이렉트 자동차 보험료 견적
- KB손해보험 다이렉트 자동차 보험료 견적
- AXA 다이렉트 자동차 보험료 견적
- 캐롯 퍼마일 자동차 보험료 견적
지금까지 자동차 보험 운전 경력 인정 범위에 대해 알아 봤습니다. 운전 경력이 있으면 최대 3년까지 보험가입 경력을 인정받아 보험료를 아낄 수 있습니다. 자동차 보험은 가입 경력에 따라 할증률 차이가 크기 때문에 운전 경력이 짧더라도 경력 인정을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